지난 포스팅에서
지금까지 내가 어떻게 중국에 투자해 왔는지,
우한폐렴과 다가오는 설에 대한 대응에 관해 다뤘다.
이번 포스팅은 그에 대한 팔로업으로
우한폐렴의 현재 상황 진단과 대응에 대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우한폐렴이 급속도로 전파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벌써 4명의 확진자가 나왔고,
시민들은 혹시나 하는 감염에
불안해 하고 있다.
중국인 입국금지 청원이 20만 명을 넘었고,
밖에 나가면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사람들을
흔히 마주칠 수 있다.
중국에서는 현재까지
3000여명의 확진자와
8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는데,
이는 보고된 수치로
실제 감염자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정부의 대응이 늦었다는 얘기도 있지만,
그래도 1000명의 의료진을 급파하고
우한시 자체를 통제하며
춘제 행사와 단체 관광을 모두 취소하는 등
나름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럼 우한폐렴은 얼마나 심각한 질병일까?
우리가 잘 아는 사스와 메르스로 비교해보면
감염자수와 치사율은 다음과 같다.
|
우한폐렴 |
2015년 메르스 |
2012년 메르스 |
2003년 사스 |
감염자수 |
3000명 |
186명 |
1167명 |
8096명 |
사망자수 |
80명 |
38명 |
479명 |
774명 |
즉, 우한폐렴은 사스와 메르스에 비해
전파력은 빠르나
치사율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메르스와 사스의 증시조정을 살펴보면
2015년 메르스는
우리나라 코스피를
2150선에서 2000선으로
7%정도 하락시켰고,
2003년 사스때에 홍콩과 중국증시는
6~8%정도의 조정을 보였다.
그렇다면 이번 우한폐렴도
전세계 증시를 조정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나는 언제부터 매수해야 할까.
뭐 100% 맞을 순 없으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조심스럽게 차트를 보면
코스피 2180, 상해종합 2900선 정도에서
1차 지지가 되지 않을까 싶다.
나는 장기 투자자로 매수 시에
한번에 매수가 아닌
분할매수 전략을 취하는데,
보통 지지대나 또는 살짝 위에서
첫 번째 매수를 하고
그 밑으로 떨어지면
다음 지지대에서 추가로 매수한다.
'월급쟁이 투자자 > 투자에 대한 고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한폐렴과 주식투자 대응하기 3. (1) | 2020.02.03 |
---|---|
내가 생각하는 주식투자란? (0) | 2020.01.29 |
우한폐렴과 주식투자 대응하기 2. (0) | 2020.01.28 |
현명한 주식투자 방법 (0) | 2020.01.26 |
우한폐렴과 중국투자 (1) | 2020.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