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급쟁이 투자자/투자에 대한 고찰

코로나 이후 주식시장

by 같투 2020. 9. 2.
반응형

이번 코로나 이후 주식시장을 보면

삼바, 셀트리온, LG화학,

삼성SDI, NAVER, 카카오, 엔씨소프트

BBIG 7 차지하는 비중이

연초 10% 수준에서 20% 수준으로

2배가량 상승했다고 한다.

 

이들 일곱 종목과 삼성전자의 시총 차이도

200 가량에서 40 수준으로 좁혀졌는데..

이제 와서 매수하긴 겁나고

따라가지 않으면 상승장에서 소외되고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이래서 고객 예탁금만

늘어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BBIG7 시총변화, 유안타증권 리포트 펌

애플도 버블논란을 뚫고

액면분할과 함께 꾸준히 상승하여

2500조를 향해가고 있다.

이렇게 덩치가 큰 기업이

거의 매일 상승하고 있는데..

 

다른 기업들과 뭐가 다른걸까?

 

개인적으론 이들 기업이

미래산업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친환경차와 바이오 그리고 

5G를 기반으로 한 데이터, AI, 자율주행.

 

이에 해당하는 플랫폼을 제공하여

이익률 증가와 더불어

꾸준히 이익을 낼 수 있는 

형태가 되어가고 있다. 

 

애플이 상승하는 이유  하나가

서비스 판매의 증가로 알고 있다. 

작년 매출의 18% 담당할 정도로

앱스토어, 뮤직, 클라우드  

플랫폼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산업 트렌드에 맞게 트랜지션 중이랄까.

애플 매출구조, 하나금융투자 리포트 펌

이번 상승의 막이 내리더라도

주식 가격의 제자리를 찾아갈 뿐이지

산업에 따라 기업의 체질이 변화하고 있기에

4 산업혁명 기업들의 우상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