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연금저축보험을 가지고 있었다.
퇴직연금도 DC형으로 관리해야 하고,
개인 주식계좌도 굴리고 있어서
신경쓰기 귀찮아 세제혜택만 받자 생각하고
보험으로 가입했었는데..
계속되는 금리하락에
연금저축펀드로 변경하여
조금더 부지런히 투자하기로 결심했다.
하기는 전략과 백테스팅 결과이니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하다.
- 전략
주식과 미국채 6:4 비중유지 전략
주식은 S&P500을 택하고,
환헤지와 환노출을 동일하게 가져갈 예정.
분기에 한번씩 40:30:30로 리밸런싱.
(미국채:S&P500환노출:S&P500환헤지)
- 매매가능 S&P500 ETF
환헤지종목으로는 ARIRANG S&P500
환노출종목은 KINDEX S&P500
(KINDEX S&P500이 운용보수가 더 져럼)
- 매매가능 미국채 ETF
환노출종목으로 TIGER미국채10년선물
- 예외사항 리밸런싱
원달러 환율이 너무 저렴해지거나 비싸지면
환노출과 환헤지를 조금 조절한다.
< 1100: 4:4:2 KINDEX S&P500 우위
< 1050: 4:5:1 KINDEX S&P500 우위
> 1250: 4:2:4 ARIRANG S&P500 우위
- 백테스트 결과
위 예외사항을 제외하고 3개의 포트폴리오로
백테스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식 채권 5:5 동일비중
P1 - 10yr(UH), SP500(H)
P2 - 10yr(UH), SP500(UH)
P3 - 10yr(UH), SP500(H), SP500(UH)
어떤 상황에서도 중간치인
SP500 H, UH 둘다 매수를 선택.
2003-2020
P1>P3>P2
2006-2020
P2>P3>P1
2010-2020
P1>P3>P2
동일비중과 6:4(주식우위)도
분기와 반기 리밸런싱으로
백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신기하게도 주식이 5보다 6이고
반기보다는 분기 리밸런싱일때
수익률이 높고 최대손실율이 낮다.
테스트 결과로 투자 진행시
연평균 기대수익률 6-8%,
최대손실률 -12~14%로 예상한다.
비율조절, 분기 리밸런싱 백테스트 결과
P1 - 4:3:3
P2 - 3:3.5:3.5
P3 - 5:2.5:2.5
2005-2020
P2>P1>P3
'월급쟁이 투자자 > 연금저축 ETF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 달러자산 만들기 TIGER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0) | 2021.09.28 |
---|---|
퇴직연금 ETF 신규 편입 - KBSTAR Fn5G테크 (2) | 2021.01.22 |
퇴직연금 DC형 ETF 투자 - TIGER미국나스닥100 (0) | 2020.12.02 |
퇴직연금 ETF 투자 - KINDEX 베트남VN30 (0) | 2020.06.07 |
댓글